본문 바로가기
뉴스

2022년 통계청 출생 통계 :: 합계출산율 역대 최저 기록

by 헬스_라이프
반응형

2022년 대한민국 합계 합산 출산율이 0.78명으로,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고 합니다. 2013년부터 OECD 국가 가운데 합계출산율 꼴찌를 기록하고 있습니다.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 

 

2022년_출생_사망통계

2022년 출생 및 사망 통계

우리나라는 매년 저출산으로 고생하고 있으며, 매년 역대 최저치를 경신하고 있습니다. 통계청이 작년 2022년 출생 및 사망 통계 발표를 하였는데요. 아래와 같습니다. 

1. 출생 

 ㅇ 출생아 수는 24만 9천 명으로 전년대비 1만 1천 5백 명(-4.4%) 감소

2022년_합계출산율
합계 출산율 연도별 추이

▲ 합계출산율(합산출산율)은 0.78명으로 전년 대비 0.03명 감소하였고, 인구 1 천명당 출생아수는 4.9명으로 전년대비 0,2명 감소하였습니다.

 

 

 

 ㅇ 35세 미만 연령층의 출산율은 감소, 35세 이상 연령층의 출산율은 증가

연령별출산율
연령별 출산율 및 출산 여성 평균 연령

▲ 연령별 출산율은 30대 초반이 73.5명으로 가장 높고, 30대 후반이 44명, 20대 후반이 24명 순으로 나타납니다. 전년대비 20대 후반은 -3.5명, 30대 초반은 -3.5명, 30대 초반은 -2.6명 순으로 감소하였습니다. 

▲ 여성의 평균 출산 연령은 33.5세로 전년 대비 0.2세 상승하였습니다. 첫째, 둘째, 셋째아 출산 여성의 평균 연령은 전년대비 0.1세~0.3세 상승하였습니다. 

ㅇ 전년대비 첫째아는 8천 명(5.5%) 증가, 둘째아는 1만 5천 명(-16.8%) 감소

전년대비첫째아_둘째아
전년대비 첫째아 둘째아 비중 및 결혼기간 출생아수 현황

▲ 첫째아첫째아 비중은 62.7%, 둘째아 30.5%, 전년대비 첫째아 비중은 5.5%(8천 명) 증가하였고, 둘째아 비중은 16.8%(1만 5천 명) 감소하였습니다. 

▲ 저년ㄴ대비 결혼생활 2년 안의 출생아 수는 5천 명(-6.4%), 2-5년 안의 출생아 수는 5천 명(-5.1%), 5년 이상은 3천 명(-4.7%) 감소하였습니다. 

2. 사망

ㅇ 사망자 수는 37만 2천 8백 명으로 전년대비 5만 5천1백 명(17.4%) 증가

사망사주 및 사망률
연도별 사망자수 추이

▲ 조()사망률(인구 1 명당 사망자 ) 7.3, 전년대비 1.1 증가하였습니다. 

ㅇ 사망자 수는 80대, 90대 이상, 70대 순으로 증가

연령대별_사망자수
연령대별 사망자수

▲ 사망자수는 60대 이상 고령층에서 주로 증가하는데, 남자와 여자 모두 80대 사망률이 가장 많습니다. 

 

 

 

3. 인구 자연 증가

ㅇ 인구 자연증가(출생-사망)는 -12만 3천8백 명, 전년대비 6만 6천7백 명 감소

인구_자연증가
인구 자연증가 추이

▲ 자연증가율(인구 1천 명당 자연증가)은 -2.4명으로 전년대비 1.3명 감소하였습니다. 세종(1,500명)은 자연증가하였고, 경북(-16,500명), 부산(-13,600명) 등 16개 시도는 자연감소하였습니다. 

전국 시도별 출생 통계

전국 시도별 합계 출산율은 세종(1.12명), 전남(0.97명), 강원(0.97명)으로 높았습니다. 세종시는 정부청사가 있는 곳으로 공무원 등 외구 인구 유입이 많은 도시중 하나입니다. 유일하게 합계출산율이 1명을 넘었습니다. 

전국시도별출생아수
전국시도별 출생아 수 및 합계출산율, 조출생율

합계출산율은 세종(1.12)․전남(0.97)․강원(0.97) 순으로 높고, 서울(0.59)․부산(0.72) 순으로 낮습니다. 대전(4.0%) 제외한 16 시도 모두 합계출산율이 전년보다 감소하였고, 전년대비 세종(-12.3%)․울산(-9.8%)․충북(-8.2%) 순으로 감소하였습니다.

▲ 출생아 수는 경기(75,000 )․서울(43,000 ) 순으로 많았습니다. 대전(3.6%) 제외한 16 시도 모두 출생아 수가 전년보다 감소하였고, 전년대비 울산(-11.8%)․세종(-10.2%)․경남(-9.9%) 순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습니다. 

시도별_합계출산율
시도별 합계출산율

 

 

 

OECD 국가 합계 출산율 비교

oecd_국가_합계출산율_출산연령비교
OECD 국가 합계출산율 출산연령 비교

▲ 위 표를 보시면 아시겠지만, OECD 국가 중에 합계출산율이 가장 낮고, 1명 이하인 나라는 대한민국이 유일합니다. 

 

오늘은 통계청이 이번에 발표한 22년도 합계출산율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. 정말 우리나라 출산율은 심각합니다. 일단 결혼을 안 하니 당연히 출생아수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 것이고요. 결혼도 늦어짐으로써 첫째 아이의 연령도 점점 늦춰지고 있습니다. 우리나라 인구 구성중 생산 인구수가 2020년도에 정점을 찍고, 계속 낮아지고 있습니다. 이런 추이라면, 우리나라 전체 인구수가 5 천명대에서 3 천명대로 낮아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. 이제 경제를 걱정해야 하는 건 아닌지 심히 우려스럽습니다. 우리나라 출생률에 대해서 우리 모두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. 감사합니다. ^.^

반응형

 

댓글